343 0 0 0 22 0 2년전 0

한자는 옛훈민정음

한자는 왜 한국어로 말을 걸까

중국 문자라는 한자는 중국의 말로는 풀리지 않습니다. ‘나무’는 ‘나무’이어야 하고, ‘날’은 ‘날’이어만 하며, ‘입’은 ‘입’은 ‘입’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말은 그 따위 것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한자를 만든 사람은, 옛 중국말을 말하던 자들이 아니라, 옛 한국말로 낱말 퍼즐 놀음를 하던 신선들이셨습니다. 이 책은 ‘나무 목(木),’ ‘날 일(日)’ 그리고 ‘입 구(口)’라는 3개의 한자와 35개의 관련 한자들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한자를 배운 적이 있다면, 이 모든 35개의 글자는 여러분이 알고 있었던 그것의 의미들과는 차이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한자는 중국사람들의 조상들이, 즉 한족(漢族)이, 그들의 위대한 중국말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었다.’라는 상식 같..
중국 문자라는 한자는 중국의 말로는 풀리지 않습니다. ‘나무’는 ‘나무’이어야 하고, ‘날’은 ‘날’이어만 하며, ‘입’은 ‘입’은 ‘입’이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한국말은 그 따위 것을 강요하지 않습니다. 한자를 만든 사람은, 옛 중국말을 말하던 자들이 아니라, 옛 한국말로 낱말 퍼즐 놀음를 하던 신선들이셨습니다.

이 책은 ‘나무 목(木),’ ‘날 일(日)’ 그리고 ‘입 구(口)’라는 3개의 한자와 35개의 관련 한자들에 대해 하나씩 하나씩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한자를 배운 적이 있다면, 이 모든 35개의 글자는 여러분이 알고 있었던 그것의 의미들과는 차이가 있음을 깨닫게 됩니다.

‘한자는 중국사람들의 조상들이, 즉 한족(漢族)이, 그들의 위대한 중국말을 표기하기 위해 만들었다.’라는 상식 같은 믿음이 차례차례 허물어집니다. 한족이 만들었다고 알려진 한자가, 두루뭉술한 중국말 해설보다는, 한국말로 설명하고 정의하는 것이 더욱 명확하여 여러분을 당혹스럽게 만듭니다. 한국말의 60% 정도가 한자에서 유래하였다고 합니다. 그러나 한자는 그 글자 하나하나의 뜻, 소리 및 어순을 고려할 때, 옛 한국말을 사용하던 사람들에 의해 만들어졌었다는 것이 논리적으로 훨씬 더 타당합니다. 필자가 발견해낸 한국말의 파편들은 이 짧은 한 권의 책으로는 소화하기 힘듭니다. 여기에서 시도하려는 의도는 ‘한자는 옛 한국말을 쓰던 사람들이 만든 글자이다.’라는 주장이 황당하게 들리지 않도록 여러분의 마음을 백지상태로 만들려는 중화제의 성격이 짙습니다.

한자 글자 하나는 적게는 한 개, 많으면 수십 개의 뜻을 가집니다. 전통적 분석방법은 한자 글자 하나당 기껏해야 한두 개 의미만을 겨우 해석해 줍니다. 그것들의 80% 이상은 해석이 불가능하고, 그럭저럭 유추했다는 의미들도 다시 곱씹어보면 그저 모호하고 공허한 뜬 구름 잡기에 가깝습니다. 중국말식 또는 중국식 해설은 불분명한 옛날 그림들에 집착하고 논리적 비약이 심한 편에 속합니다. 이해를 위한 설명이라기보다는 이해를 강요하는 부자연스러운 작업에 가깝습니다.

저는 각각의 한자가 가지는 의미 및 소리들이 한국말과 무슨 관련성이 있을까에 관심을 기울였고, 그리 오래되지 않아 명확한 상관관계를 발견해냈습니다. 상식으로 볼 때, 정자체인 해서체 한자는 2천년 전에 중국말을 쓰던 중국인들이 정리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재미있게도, 제 눈과 귀에 드러난 실체는 해서체 한자가 한국말 단어들과 문법에 기초를 두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더욱이 그것과 현대 한국말은 생각보다 커다란 차이가 없다는 것이었습니다.

중국인들의 발음은 한자의 뼈대와 핵심을 이해하는데 전혀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그들은 ‘나무 목(木)’에서 '무[mù]’라는 1개 발음과 ‘나무’라는 그림 하나를 머리에 떠올립니다. 한자창제자는 때에 따라 그것을 ‘십팔, 나눔, 남, 남, 남아, 님, 넘나, 너무, 놈’ 등등으로 읽고, 수십 개의 이미지를 선물합니다. 지리산 청학동에서나 서울 한복판에서나, 긴 세월 동안 훈장님께 배우고 익힌 한국식 발음 ‘나무 목,’ ‘날 일,’ 및 ‘입 구’라는 소리가 한자의 본질을 정확하게 짚어냅니다. 나머지 34개의 한자도 여러분의 고정관념을 뛰어넘습니다. 거기에는 중국말이 없습니다. 한자는 한국말로 만들어졌기 때문입니다.
김민찬

언어에 호기심이 많았던 필자는 영어, 스페인어, 말레이-인도네시아어, 중국어를 배웠다. 한국말과는 무관해 보이는 언어들 사이에 한국말과 관련된 공통적인 규칙을 발견하면서부터, 그 관련성의 제일 끝단인 한자에 이르렀다. 한자에는 중국말로는 설명되기 힘든 너무 많은 한국말 요소가 살아있다. 태어나서 배운 언어들, 한자 그리고 한국말은 뿌리가 너무 많이 겹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그가 발견한 규칙과 패턴은 보통사람들과 전혀 다른 시점으로 바라보는 기회가 곧 올 것이다.

필자는 대부분 외국계 해운회사에서 해상운송에 특화된 업무에 종사했으며, 한국, 영국 및 미국의 지사에서 근무했다. 그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고, 경희대에서는 잠시 경영학을 수학했으며, SCUPS에서 법학을 공부하고, WCSL에서 미국법학박사(JD)학위를 받았다.

이메일: hanalangua@gmail.com

㈜유페이퍼 대표 이병훈 | 316-86-00520 | 통신판매 2017-서울강남-00994 서울 강남구 학동로2길19, 2층 (논현동,세일빌딩) 02-577-6002 help@upaper.net 개인정보책임 : 이선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