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내
확인
U
회원관리
로그인
가입
찾기
회원아이디
패스워드
로그인유지
회원아이디
이름
이메일
휴대폰번호
패스워드
패스워드 재입력
회원이용약관 및 개인정보 취급방침에 동의 합니다
회원이용약관 보기
개인정보처리방침 보기
본인 이름 입력
회원가입시 이메일 입력
한자의 가나다라 원소글자
머리말
유페이퍼
|
김민찬
|
2022-04-25
29
읽음
0
0
0
1 / 218 목차보기
이전
1 / 218 목차
다음
로그인
회원가입
하
하나랑구아
머리말
목 차
시작에 앞서
I. 한자에서 발견되는 한국말 소리
1. 80% 확신할 때만 믿겠습니다.
2. 기원전 2세기에 'ㅂ(비읍)'은 이렇게 썼다.
3. 기원전의 ‘ㅂ’은 어느 한자에 들어 있나?
가. 'ㅂ'을 품은 한자
나. 무슨 'ㅂ'을 말하고 있나?
4. 창제자는 한자를 발명하고 진화시켰다.
가. 나의 찬란한 문자를 남의 나라에 바치는 바보는 없다.
나. 한자 창제의 3단계 과정
II. 원소글자를 어떻게 찾아냈을까.
1. 한자가 한국말이라고 반박한 사람이 없었다.
가. 한국말을 몰라 평생을 개고생했다.
나. 한국을 폄훼할 때 한국의 글자를 쓰지 말라.
다. 내것 아닌 것을 내것으로 우기는 방법
2. 한자에 대한 당돌한 가설
가. 한국말이 너무 많이 발견되면 우연이 아니다.
나. 한자는 한국말이라는 가설을 세우다.
가. 해서체 한자는 알파벳과 유사한 요소들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나. 해서체 한자는 특정한 규칙에 따라 조합되었을 것이다.
다. 해서체 한자는 옛 한국말에 기초를 두고 있을 것이다.
라. 해서체 한자는 의미와 소리가 현대 한국말에서 발견될 것이다.
마. 해서체 한자 안에는 옛 한국말 소리를 나타내는 표식이 있을 것이다.
바. 해서체 한자의 생성 시기의 소릿값을 추정할 수 있을 것이다.
3. 기본글자 분해하기 그리고 소리 추적하기
가. 기본글자를 1획의 표식으로 분리한다.
나. 그 표식의 소리를 찾는다.
1) 어떻게 추적하는가?
2) 어디에서 찾나?
네이버한자사전: 상세한 한자 정보의 보고
훈몽자회 & 신증유합: 간결한 한 줄 표현
네이버국어사전: 현재와 과거를 이어주는 소리
다. 현대 한국말로 소리 정리하기
1) 현대 한국말로 정리하기
2) 이름 지어주기
라. 한자 창제 당시의 소릿값을 추정한다.
III. 세종대왕의 손을 빌려 한자의 소리를 찾는다.
1. 폐하! 훈민정음의 창제는 소국의 도리가 아니옵니다.
가. 옛 한국사람은 중국의 글자를 빌려서 적었다?
나. 네가 한국말 소리 '가나다라'가 무엇인지 아느냐?
2. 세종대왕이라면 ‘베불읍 밝(丿)’을 뭐라 했을까?
가. 세종대왕은 알고 있었을까?
나. '베불읍 밝'을 세종대왕은 뭐라 했을까?
3. 아래 아(ㆍ)는 모든 모음의 줄기세포.
5. 삐침 별(丿)은 음절문자이었을 것이다.
가. 음소(音素)와 음소문자(音素文字)
나. 음절(音節)과 음절문자(音節文字)
다. 삐침 별(丿)은 음절문자이었을 것이다.
라. 원소글자가 생소한 이유
1) 원소글자의 3가지 유형
가) 한자 사전에 등재되어 있고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글자
나) 한자 사전에 등재되어 있으나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는 글자
다) 한자 사전에 등재되어 있지도 독립적으로 사용되지 않은 글자
2) 한국말에 무지한 사람들이 한자를 정리했다.
3) 원소글자 이름이 이상한 이유
마. 소리를 이해하려면 훈민정음으로 표기해야 한다.
IV. 원소글자: 가장 중요한 2개의 소리
1. 큰한안 일: 크고 하나가 아닌 소리
가. 큰한안 일: ‘크다, 큰’을 대표한다.
1) ‘크다, 큰’를 보여주는 예시
큰[클] 대(大)
고무래 정(丁)
여자 녀(女)
활 궁(弓)
책 책(冊)
옳을 가(可)
나. 큰한안 일: ‘하나, 한’을 대표한다.
1) ‘하나, 한’을 보여주는 예시
두 이(二)
한가지 공(共)
수레 차(車)
하늘 천(天)
비 우(雨)
빛 광(光)
다. 큰한안 일: ‘아니다, 안’을 대표한다.
1) ‘아니다, 안’을 보여주는 예시
아닐 불(不)
아닐 미(未)
끝 말(末)
2. 베불읍 밝: 불과 밝음을 보여주는 소리
1) ‘베불읍 밝’이 보여주는 소리들
달 월(月)
사람 인(人)
고칠 경(更)
일천 천(千)
벼 화(禾)
우물 정(井)
V. 원소글자: 꽤나 중요한 소리 5개
1. 들쓸 곤: 뚫고 쓰고 꽂는 소리
가. ‘들쓸 곤’이 보여주는 소리들
비 우(雨)
아닐 불(不)
쓸 용(用)
붓 율(聿)
메 산(山)
수건 건(巾)
2. 흐를 물: 흐르는 물을 말하는 소리
가. ‘흐를 물’이 보여주는 소리들
강 강(江)
물 하(河)
바다 해(海)
얼 동(凍)
혹 혹(或)
나라 국(國)
3. 갈고리 궐: 갈고 걸고 가르는 소리
가. ‘갈고리 궐’이 보여주는 소리들
고무래 정
손 수(手)
마디 촌(寸)
작을 소(小)
옳을 가(可)
돼지 시(豕)
4. 붇벗 빛: 붙어도 벗어나도 비추는 소리
가. ‘붇벗 빛’이 보여주는 소리들
붓 율(聿)
책 책(冊)
달 월(月)
벗 붕(朋)
붉을 단(丹)
밭 전(田)
5. 씌워 걸: 씌우고 끌질하는 그런 소리
가. ‘씌워 걸’이 보여주는 소리들
쌀 포(勹)
글귀 구(句)/올가미 구(句)
쌀 포(包)
칼 도(刀)
모 방(方)
힘 력(力)
VI. 원소글자: 미묘한 디테일의 소리 6개
1. 은얼 날: 어리어리 오르는 알만한 소리
가. ‘은얼 날’이 보여주는 소리들
마늘 모(厶)
작을 요(幺)
알 난(卵)
어머니 모(母)
써 이(以)
인간 세(世)
2. 진 인: 지는 서는 이는 소리
가. ‘진 인’이 보여주는 소리들
사람 인(人)
들 입(入)
또 우(又)
갈 지(之)
쌀 미(米)
개 견(犬)
3. 숨쉴 은: 숨어서 숨을 쉬는 소리
가. ‘숨쉴 은’이 보여주는 소리들
마음 심(心)
번개 전(電)
귀신 귀(鬼)
빛 광(光)
터럭 모(毛)
비수 비(匕)
4. 덤솜탐 점: 쪼만한 쥐똥만큼 타는 소리
가. ‘덤소탐 점’이 보여주는 소리들
작을 소(小)
마디 촌(寸)
붉을 단(丹)
그릇 기(器)
개 견(犬)
클 태(太)
5. 이에 여: 이어서 엮는 소리
가. ‘이에 여’가 보여주는 소리들
또 우(又)
오랠 구(久)
갈 지(之)
저녁 석(夕)/움큼 사(夕)
하품 흠(欠)
이제 금(今)
6. 새 을: 새(가) 울 수도 샐 수도 세울 수도 있는 소리
가. ‘새 을’이 보여주는 소리들
빌 걸(乞)
둥글 환(丸)
안석 궤(几)
바람 풍(風)
몽둥이 수(殳)
기운 기(氣)
VII. 원소글자가 만드는 기본글자
1. 기본글자: 느슨한 개념의 글자
가. 기본글자: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의 글자
나. 기본글자의 일반적인 성격
1) 기본글자는 전통적 한자 사전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2) 기본글자는 가장 간단한 구조입니다.
3) 기본글자는 기본글자는 ‘뜻 부분’과 ‘소리 부분’으로 나뉩니다.
4) 기본글자는 다른 글자와의 사교성이 좋습니다.
다. 원소글자이며 동시에 기본글자인 이중인격자.
2. 기본글자를 만든 방법
가. 원소글자를 그대로 사용한다.
나. 엮은글자: 원소글자로만 이루어진 기본글자
1) 두 이: ‘큰한안 일’+‘큰한안 일’
2) 칼 도: 씌워 걸 + 베불읍 밝
3) 사람 인: ‘베불읍 밝’ + ‘진 인’
4) 큰 대: ‘큰한안 일’ + ‘베불읍 밝’ + ‘진 인’
5) 마디 촌: ‘큰한안 일’ + ‘갈고리 궐’ + ‘덤솜탐 점’
6) 둥글 환: ‘베불읍 밝’ + ‘새 을’ + ‘덤솜탐 점’
다. 섞인글자: 원소글자와 기본글자가 합쳐진 기본글자
1) 개 견: 큰 대 + 덤솜탐 점
‘개 견’이 섞인글자라면 - 컹컹대며 뜀
‘개 견’이 엮은글자라면 - 컹컹 발발 징징 뜀
2) 손 수: 베불읍밝+두이+갈고리궐
‘손 수’가 섞인글자라면 – 벌려 들면 갈고리
‘손 수’가 엮은글자라면 – 벌리면 하나 하나가 갈고리
3) 달 월: 베불읍밝+붇벗 빛+두이
‘달 월’이 섞인글자라면 – 밝게 비추는 달
‘달 월’이 엮은글자라면 – 밝은 빛이 환하고 환하다
4) 옳을 가: 큰한안일+입 구+갈고리궐
5) 일천 천: 베불읍 밝 + 열 십
6) 벼 화: 베불읍 밝 + 나무 목
‘벼 화’이 섞인글자라면 – 벼 나무
‘벼 화’이 다른 섞인글자라면 – 벼가 열리는 풀
3. 원소글자와 기본글자는 옛 한국말에 바탕을 둔다.
가. 이 책 요약 5줄
나. 기본글자는 바탕글자가 되어 더 많은 한국말을 분화시킨다.
다. 중국인은 이해 못하는 나무의 본 모습
다. 당신의 조상은 위대한 2종류의 문자를 발명했다.
저자소개